최근 공과금이 큰 폭으로 올라서 관리비에 대한 걱정이 이만삼만사만저만이 아닙니다. 저희 집도 겨울철 난방비로 관리비가 30만원을 넘어서 이게 맞나 싶습니다. 그래서 최대한 관리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봤고, 그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.
혹시 아파트아이 추천코드를 위해 이 글을 보시는 분을 위해 추천 코드를 먼저 남겨둡니다.
- 추천 코드 : C5r9V
- 가입 링크 : https://bit.ly/3GtKUwd
아파트아이 - 아파트관리비에 관한 모든 서비스
www.apti.co.kr
1. 관리비 항목 체크하기
관리비 항목들 중에는 개별 세대가 쓴 만큼 부과되는 항목이 있고, 기본으로 부과되는 항목들이 있습니다. 항목들은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1) 공용 관리비
- 아파트에 살고 있다면 기본적으로 내야하는 항목입니다.
- 일반관리비, 수선유지비, 청소비, 경비비, 소독비, 승강기 유지비, 설비 유지비, 위탁관리 수수료 등
2) 개별 사용료
- 개별 세대가 사용한 만큼 부과되는 항목입니다.
- 난방비, 급탕비, 가스사용료, 전기비, 수도료, 정화조오물수수료, 생활폐기물수수료, 입주자대표회의 운영비, 건물보험료 등
3) 장기수선충당금 월부과액
- 아파트 시설이 노후해졌을 때를 대비해 미리 적립해 두는 금액입니다.
- 전/월세로 살고 있다면 이사해서 나갈때 거주 기간동안 낸 금액을 임대인(집주인) 에게 꼭 돌려 받아야합니다.
2. 전기/가스비 절약 팁
1) 도시가스 캐시백
- 도시가스 공사에서 시행하는 제도입니다.
- 가스 사용량을 전년도 동절기 (12~3월) 보다 3% 이상 절약하면 현금으로 돌려줍니다.
- 2024년 3월 31일 까지 도시가스 캐시백 (k-gascashback.or.kr)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(주택용 에너지 캐시백과 중복으로 받을수 있습니다.)
2)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
- 한국전력공사의 전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.
- 신청 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전기 사용량이 줄면, 캐시백 계산식에 따라 다음달 전기비를 자동으로 차감해 줍니다.
- 에너지캐시백 (en-ter.co.kr) 에서 신청 간으합니다.
3) TV 수신료
- TV 수신료는 기본으로 전기비에 포함되어있는데, 집에 TV 가 없다면 한전에 신청해서 월 2,500원 절약 가능합니다.
4) 5인 이상 대가족 or 자녀 셋 이상 or 만 3세 이하 자녀
- 위 세가지 중 하나라도 충족한다면 월 전기요금 30%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. (16,000원 한도)
3. 관리비 조회&결제 앱
아파트아이 라는 앱&홈페이지가 있습니다.
아파트아이 - 아파트관리비에 관한 모든 서비스 (apti.co.kr)
아파트아이
아파트아이, 내 생활이 되다
www.apti.co.kr
가입하면 앱을 통해 관리비 조회도 가능하고 납부도 할 수 있습니다.
이 앱의 장점은
- 여러 이벤트와 미션들을 통해 관리비 결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캐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여러 제휴사 포인트들을 관리비 결제할 떄 사용할 수 있는 캐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(카드 포인트, H.point, 해피버니, 서베이링크, S-OIL, 북앤라이프 상품권) - 결제 시 네이버 페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, 네이버 페이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.
- 관리비를 분석하여 보여줍니다.
아래에서 설명드릴 신용카드 결제 할인을 받고 있는게 아닌 분들이라면 아파트 아이를 통해서 캐시&네이버페이 적립을 통해 관리비를 좀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.
※ 아파트아이 가입 시 아래 링크를 통해 들어가셔서 초대코드 C5r9V 를 입력하시면 관리비 납부할 때 바로 사용가능한 1천원 캐시 적립이 가능합니다.
아파트아이 - 아파트관리비에 관한 모든 서비스
www.apti.co.kr
4. 신용카드 할인
카드마다 혜택에 관리비 할인 항목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관리비 할인 혜택이 있는 카드의 경우 관리비의 10%를 청구 할인해줍니다.
이 부분으로 고려하셔서 신용카드를 만드시고,
본인의 신용카드 혜택에 관리비 할인 혜택이 있는지 잘 확인하여 혜택 볼 수 있는 카드로 납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'재태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직접하기 (홈택스) (0) | 2024.05.01 |
---|---|
[부동산뽀개기③] 전세계약 잔금일 체크리스트 (0) | 2023.10.05 |
[부동산뽀개기②] 전세자금대출 알아보기 (0) | 2023.07.10 |
[부동산뽀개기①] 월세 vs 전세 vs 매매 (feat.반전세) (0) | 2023.07.08 |
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(feat. 키움증권 신고대행) (0) | 2023.04.03 |
댓글